1. K-패스(케이패스) 제도란?
국민의 대중교통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하여 국토교통부에서 시행하는 제도다. 대중교통비의 일부를 마일리지 형태로 환급해 주는 제도로 사용자가 한 달에 최소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일반인, 청년층, 저소득층에게 각각 20%, 30%, 53%의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최대 60회까지 이용 횟수에 따라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제도다. 기존 알뜰교통카드보다 할인 혜택을 받기 위한 조건이 완화되었고 혜택 또한 늘었다.
2. 지원 자격
K-패스 카드를 별도로 발급받은 후 카드 등록을 위한 회원가입이 필요하다. 본인의 자격에 따라 일반, 청년, 저소득 중 하나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기존에 알뜰교통카드를 이용하고 있던 사람이라면 추가 카드 발급 또는 회원가입 없이 간단한 회원전환 절차만 거쳐서 K-패스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용자 동의는 필수다. 참고로 기존 알뜰교통카드는 24년 4월 30일까지 사용 가능하다.
※ 알뜰교통카드 → K-패스 회원전환 방법
1. 모바일 앱 또는 누리집 접속(앱 : 24년 4월 30일까지, 누리집 : 24년 6월 30일까지)
2. 알뜰교통카드 카드번호 입력
3. 주소지 검증을 위한 주민등록번호 입력
4. 이용약관 등 동의
3. 지원 내용
- 혜택조건 :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마일리지 지급(월 최대 60회까지)
- 적용수단 : 시내버스, 지하철, 광역버스, 민자철도(신분당선 등) 등 교통카드 기반 대중교통
- 적용범위 : 특정 지역이 아닌 전국 단위 호환(ex, 서울 지역 가입자가 타 지역 대중교통 이용 시에도 혜택 적용)
- 지급방식 : 대중교통 이용 다음 달에 카드 사용자에게 직접 환급(현금, 마일리지, 카드 공제 등의 방법)
- 부담주체 : 국가와 지자체가 1:1로 분담함
알뜰교통카드는 이동거리를 인증하기 위해 번거로운 점이 있었다. 출발지에서 승차점까지 이동거리, 하차점에서 도착지의 이동거리의 합으로 마일리지를 적립할 수 있었다. 사용자가 매번 거리를 인증해야만 했다. 하지만 K-패스로 전환되면서 이동거리 인증은 사라졌다.
- 일반 : 청년, 저소득 제외 가입자
- 청년 : 만 19세 ~ 34세
- 저소득 : 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4. 관련 사이트
https://alcard.kr/kpass/change_kpass_com.do
알뜰교통카드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
alcard.kr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4월, 경험생명표 개정(제 10차)에 따른 보험료 영향 (2) | 2024.04.01 |
---|---|
근로장려금이란? 신청 자격 및 신청 방법 (2) | 2024.03.30 |
청년희망적금 지원 자격, 지원 내용 (0) | 2024.03.28 |
청년내일채움공제의 정의, 지원 자격, 지원 내용 (1) | 2024.03.28 |
상장지수펀드(Exchange Traded Fund, ETF)의 정의, 종류, 분배금 (1) | 2024.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