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예금과 적금의 종류, 차이점(이자 비교 사이트 소개)

by 깡타의 컴맹인생 2024. 4. 29.
반응형

예금과 적금 종류, 차이점
< 예금과 적금 종류, 차이점 >

보통예금, 적금, 정기적금, 정기예금 등 예금과 적금에 관하여 다양한 단어가 사용되고 또 그 개념조차도 헷갈릴 때가 많다. 오늘은 예금과 적금의 종류와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1. 예금(목돈 굴리기)

예금이란 목돈을 한꺼번에 은행에 맡겨두는 상품이다.


1.1. 보통예금(입출금통장)

보통예금은 보관 금액과 예치 기간이 없다. 입출금 통장의 정식 명칭이다. 체크카드와 연결해서 사용하는 계좌가 보통예금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본인이 원하는 때 언제든지 입출금이 가능하다. 이자는 거의 없다. (0%에 가까움)


1.2. 정기예금

예치기간을 정해두고 일정한 금액을 저축하는 상품이다. 보통예금과는 다르게 은행과 약속한 기간이 끝나기 전까지는 출금할 수 없다. 금액을 한 번에 납입하고 예금 만기에 원금과 이자를 받는다. 보통 적금에 비해 이자가 높다.


2. 적금(목돈 만들기)

적금이란 돈을 여러 번 걸쳐 납입하는 방식의 저축이다. 일정 기간 동안 정해진 금액을 납입하고 만기 때 돈을 찾을 수 있다.


2.1. 정기적금

정기적으로 일정한 금액을 저축하는 상품이다. 매월마다 정해진 금액을 납입하고 적금 만기 시에 원금과 이자를 받는다. 만기 전까지 출금할 수 없고 예금처럼 한꺼번에 많은 돈을 납입할 수는 없으므로 경제적으로 여유가 없는 상황이라면 예금보다 적금이 유리하다.


2.2. 부금

정기적금과 비슷한데 일정 회차 이상을 납입하면 일정 금액을 빌릴 수 있는 권리가 생긴다.


2.3. 자유적금

정해진 금액 없이 본인이 원하는 만큼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는 적금이다. 수입이 일정하지 않은 사람에게 유리하다. 강제성이 덜하기 때문에 게으른 사람은 저축을 안 할 수도 있다.


3. 정기예금과 정기적금 이자 비교

정기예금과 정기적금의 이자를 알아보기 위해서 네이버의 금융 계산기를 활용하면 된다. 네이버 검색창에 '금융 계산기'라고 검색만 해도 아래와 같은 화면의 계산기를 활용할 수 있다. 먼저 상단 메뉴에서 금융 상품을 선택하고 예치금액, 예금기간, 연이자율, 이자과세 방법을 선택한 다음 하단의 '계산하기' 버튼을 누르면 된다.

네이버 금융 계산기
< 네이버 금융 계산기 >

1,200만 원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 가지고 재테크를 한다고 생각해 보자. 아래 왼쪽 화면이 정기예금의 원금과 이자의 합이고, 아래 오른쪽 화면이 정기적금의 원금과 이자의 합이다.

 

■ 정기예금

- 은행에 1,200만 원을 1년 동안 맡기고 1년 뒤에 1,200만 원(원금)과 이자를 받음

 

■ 정기적금

- 은행에 달마다 100만 원을 1년 동안 납입하고 1년 뒤에 1,200만 원(원금)과 이자를 받음

정기예금&amp;#44; 정기적금 이자 차이
< 정기예금, 정기적금 이자 차이 >

세금까지 고려하면 만기 시 받는 금액은 이자를 포함하여 495,989원이 차이 난다. 정기예금이 더 많다.


4. 어떤 것을 선택할까?

본인의 경제 사정에 맞춰 결정하면 된다. 정기예금을 선택하면 이자를 더 많이 받을 수 있지만 많은 돈을 맡긴다면 다른 곳에 투자할 수 없다. 반대로 정기적금을 선택하면 한 번에 목돈을 맡기는 것에 대한 부담이 없는 대신에 이자가 적다. 결국엔 정기예금, 정기적금 모두 금융 상품 중 하나기 때문에 본인이 더 많은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재테크 방법(예를 들어 투자)이 있다면 그것을 선택하면 된다. 정해진 것이 없다.


5. 예금, 적금 상품 안내 사이트

은행사별로 운영 중인 예금과 적금 상품에 대해 알아보고 싶다면 아래 사이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금융감독원 금융상품통합비교공시 금융상품한눈에

금융감독원 금융상품통합비교공시 금융상품한눈에

finlife.fss.or.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