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이썬 주피터 랩2

주피터 랩 실행파일 만들기 주피터 랩을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하다. 명령 프롬프트(CMD)에 jupyter lab 입력하기 아나콘다 프롬프트에 jupyter lab 입력하기 아나콘다에서 jupyter lab 실행시키기 별도의 파일(.bat)을 만들어 실행하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4. 별도의 실행파일을 만들어 실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목차 1. txt 파일 생성 2. 내용 입력 3. 확장자 변경 1. txt 파일 생성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새 텍스트 문서를 생성한다. 2. 내용 입력 새 텍스트 문서를 실행시키고 내용을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필자는 C 드라이브에 'Home'이라는 폴더를 사용하려고 한다. cd 본인이 원하는 기본 경로 jupyter lab 3. 확장자 변경 새로운 텍스트 문서를.. 2023. 7. 18.
주피터 랩 기본 경로 설정하기 config.py 파일 설정 주피터 랩이나 주피터 노트북은 기본 경로가 'C:\Users\사용자명'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번 시간에는 본인이 원하는 경로를 기본 설정값으로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목차 1. config.py 파일 생성 2. 코드 수정 1. config.py 파일 생성 jupyter server --generate-config cmd(명령 프롬프트)를 실행시키고 위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실행시킨다. 그러면 C:\Users\사용자명\.jupyter 폴더에 jupyter_lab_config.py라는 파일이 생겨난다. 기본 경로를 설정하는 내용을 수정하기 위해서 해당 파일을 실행시킨다. 2. 코드 수정 949번째 코드를 수정해야 한다. 주석 처리가 되어있는데 #을 제거하여 주석을 해제한다. 그리고 주피터 랩을 실행시.. 2023. 7.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