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통신

지그비(ZigBee) 통신의 정의, 특징, 네트워크 구성

by 깡타의 컴맹인생 2024. 6. 18.
반응형

지그비 통신 정의, 특징, 네트워크 구성
< 지그비 통신 정의, 특징, 네트워크 구성 >


1. 지그비(ZigBee) 통신이란?

꿀벌이 춤을 추는 그림
< 꿀벌이 춤을 추는 그림 >

IEEE 802.15.4 표준을 기반으로 하며 저전력 디지털 라디오를 이용한 무선 통신 프로토콜이다. 꿀벌이 춤을 추며 의사소통을 한다는 것을 보고 이름(ZigZag + Bee)을 지었다.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지그비(ZigBee) 통신 특징

① 저전력

② 긴 배터리 수명

③ 저렴한 디바이스 설치, 유지 비용

④ 방대한 센서 배열과 네트워크 통제 가능

⑤ 매우 작은 프로토콜 스택(블루투스나 802.11의 사이즈 4분의 1 수준)

⑥ 활성 모드(송수신), 슬립 모드가 있음

⑦ 안전성(보안성), 신뢰성, 유연성

다양한 통신 방식의 특징을 비교한 표
< 다양한 통신 방식의 특징을 비교한 표(출처 본문 하단 명기) >

지그비 통신은 네트워크 송수신 작업이 필요할 때만 작업을 수행하고 수행하지 않을 때는 휴면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소비전력을 적게 쓸 수 있으며 블루투스나 와이파이와 비교했을 때 통신 속도가 느리긴 해도 비용이 저렴해서 간단히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주로 IoT 사업 분야에서 자주 쓰이는 것으로 보인다. 단점이 있다면, 지그비 통신의 전파가 장애물이나 사물의 이동으로 인해 차단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환경을 잘 고려해야 한다.

사물인터넷(IoT)을 표현하는 사진
< 사물인터넷(IoT)을 표현한 사진 >


2. 지그비 통신 네트워크 구성 요소

지그비 통신 장치는 3가지로 구분된다. 코디네이터(Coordinator), 라우터(Router), 종단장치(End Device)다.


2.1. 코디네이터(Coordinator)

지그비 통신 네트워크를 중요한 가장 중요한 장치다.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다른 네트워크들과 연결시킨다. 각각의 지그비 통신 네트워크에는 단 1개의 코디네이터가 있으며 프로세스 시작, 보안 설정, 라우팅 테이블 설정을 담당한다.


2.2. 라우터(Router)

데이터 중개자 역할을 하며 네트워크 안정성과 탄력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 장치다. 장치 간(엔드 디바이스↔라우터, 라우터↔라우터, 라우터↔코디네이터)에 데이터를 전달하여 네트워크 범위를 확장시킨다. 메쉬 네트워크를 생성하는 데 도움이 되고 연결된 장치가 여러 경로를 통해 통신하면서 데이터 송수신 안정성과 통신 범위를 넓힐 수 있다.


2.3. 엔드 디바이스(End Device)

배터리로 작동되므로 리소스가 제한이 있으며 최소한의 전력만 소비한다. 데이터 송수신 말고는 주요 역할을 수행하지 않는다.


3. 지그비 통신 네트워크 토폴로지 종류

지그비 통신은 스타(Star), 트리(Cluster Tree), 메시(Mesh) 3가지의 네트워크 토폴로지로 구성할 수 있다.


3.1. 스타 토폴로지

스타 토폴로지
< 스타 토폴로지 >


3.2. 트리형

트리 토폴로지
< 트리 토폴로지 >


3.3. 메쉬형

메쉬 토폴로지
< 메쉬 토폴로지 >


4. 출처

https://www.inforad.co.kr/single-post/zigbee%EC%97%90-%EB%8C%80%ED%95%B4-%EC%95%8C%EC%95%84%EB%B4%85%EC%8B%9C%EB%8B%A4

 

ZigBee에 대해 알아봅시다.

ZigBee(직비 혹은 지그비. 이하 지그비)는 IEEE 802.15 표준 기반의 소형, 저전력 디지털 라디오를 이용해 개인 통신망을 구성하여 통신하기 위한 표준 기술입니다. 지그비는 메시 네트워크 방식을 이

www.inforad.co.kr

 

반응형